티스토리 뷰
목차
통상임금과 상여금, 기준 정확히 알기
통상임금과 상여금 기준이 헷갈리시나요? 대법원 판결에 따라 통상임금의 "고정성"이 중요해졌습니다. 퇴직금을 제대로 계산하려면 통상임금과 상여금의 차이를 확실히 알아야 합니다.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!
📢 통상임금과 상여금 기준, 헷갈리지 않도록 쉽게 정리
- 요즘 퇴사나 퇴직금을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으시죠? 특히 통상임금과 상여금의 기준이 회사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가 있어서, 어떤 금액이 포함되는지 헷갈리실 거예요. 최근 대법원 판결로 통상임금의 "고정성" 개념이 더 명확해졌기 때문에, 이 부분을 기준으로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. 😊
< 목 차 > 1. 통상임금이란? 기준을 정확히 알아야 해요! 2.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은? 3.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될까? 4. 퇴직금 계산 시, 통상임금이 중요한 이유! 5. 퇴사 전에 꼭 체크해야 할 점! |
1. 통상임금이란? 기준을 정확히 알아야 해요!
- 통상임금이란 근로자가 소정 근로시간(법정 근로시간 내)에 대해 정기적으로 받는 급여를 말해요.
예전에는 회사마다 기준이 다소 달랐지만, 최근 대법원 판결로 인해 통상임금의 "고정성"이 강화되었어요.
✅ 즉, 매월 정해진 금액으로 고정적으로 받는 급여만 통상임금에 포함됩니다.
💡 예를 들어볼게요!
- 포함되는 금액: 기본급, 고정적인 수당(직책수당, 감정수당 등), 고정적 식대
- 포함되지 않는 금액: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, 성과급(인센티브), 명절수당
즉, "회사 규정에 따라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금액"인지가 핵심이에요.
2.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은?
아래 표를 보시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우실 거예요. 😊
< 항목통상임금 포함 여부이유>
기본급 | ✅ 포함 | 고정적으로 지급 |
식대(고정적) | ✅ 포함 가능 | 급여로 지급되면 포함 |
감정수당(고정적) | ✅ 포함 가능 | 정기 지급 시 포함 |
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 | ❌ 제외 | 근무 시간에 따라 변동 |
매출 인센티브 | ❌ 제외 | 성과에 따라 달라짐 |
명절·생일수당 | ❌ 제외 | 특정 시점에만 지급 |
3.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될까?
이제 상여금도 한번 알아볼까요?
많은 분들이 "내가 받은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될까?" 고민하시는데요.
상여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.
1️⃣ 정기상여금: 매월 또는 일정 기간마다 고정적으로 지급됨 → 통상임금 포함 가능
2️⃣ 비정기적 상여금: 경영 성과나 명절에 지급됨 → 통상임금 제외
📌 예를 들어볼게요!
- 포함 가능: 매달 10만 원씩 고정 지급되는 상여금
- 제외됨: 회사 실적에 따라 지급되는 성과급, 명절 보너스
💡 결론:
👉 "고정적으로 받느냐?"가 가장 중요합니다!
4. 퇴직금 계산 시, 통상임금이 중요한 이유!
퇴직금을 계산할 때, "통상임금"과 "평균임금" 중 더 높은 금액이 기준이 돼요.
그러니까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금액이 많으면 퇴직금도 더 높아지겠죠?
✅ 퇴직금 계산 공식
퇴직금 = 1일 평균임금 × 30 × (재직일수 ÷ 365)
1일 평균임금 = 최근 3개월간 총 급여 ÷ 총 근로일수
예를 들어, 최근 3개월 동안 총 급여가 900만 원이고, 근로일수가 90일이라면?
👉 1일 평균임금 = 900만 원 ÷ 90일 = 10만 원
👉 퇴직금 = 10만 원 × 30 × (재직일수 ÷ 365)
즉, 통상임금이 높을수록 퇴직금도 올라갑니다!
5. 퇴사 전에 꼭 체크해야 할 점!
퇴사하기 전에 아래 사항을 꼭 확인하세요!
✅ 1. 본인의 급여 명세서를 다시 확인하세요.
👉 매달 고정적으로 받는 금액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 확인해야 해요.
✅ 2. 근로계약서와 취업규칙을 체크하세요.
👉 식대, 감정수당 등 고정 지급되는 항목이 명시돼 있는지 봐야 합니다.
✅ 3. 퇴직금 산정 기준을 따져보세요.
👉 회사가 "평균임금"이 아닌 "통상임금"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계산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.
👉 평균임금이 더 높은 경우, 회사에 이 기준을 적용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!
💡 마무리하며
통상임금과 상여금의 기준을 알면 퇴직금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요!
✔ "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인가?"
✔ "성과에 따라 변동되는가?"
이 두 가지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헷갈리지 않으실 거예요.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