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청년기본소득 거주요건
-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 시 ‘3년 연속 거주’ 조건이 충족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. 2022년 3월 16일부터 2025년 3월 16일까지 경기도에 거주 중인 경우, 신청 가능 여부와 유의사항을 확인해보세요.

- 경기도 청년기본소득, 3년 거주 기준 충족될까?
- — 2022년 3월 16일부터 거주 중, 2025년 3월 16일 신청 가능 여부 정리
-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많은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. 하지만 매년 신청할 때마다 자격요건 중 '거주 기간'에 대해 혼란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.
특히 "딱 3년이 되는 날짜에 신청하면 받을 수 있을까?" 하는 질문이 반복되곤 합니다. - 이번 글에서는 2022년 3월 16일부터 2025년 3월 16일까지 연속 거주한 경우, 2025년 3월 16일에 청년기본소득을 신청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정확하고 쉬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
1.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이란?
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로 25만 원, 연간 총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지원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신청일 기준 만 24세
- 최근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 경기도 거주
- 경기도 내 시·군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
즉, 연속 거주 요건이 핵심 기준 중 하나입니다.
2. 거주기간 계산 기준: '일수 포함'이 핵심
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3년 연속 거주를 ‘일 단위’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점입니다.
예를 들어,
- 2022년 3월 16일에 주민등록이 경기도로 되어 있다면,
- **2025년 3월 15일이 돼야 ‘3년이 꽉 채워진 것’**으로 봅니다.
2025년 3월 16일은 사실상 '3년+1일째' 되는 날이므로,
3년 요건이 충족된 날 이후에 신청하는 것이 맞습니다.
✅ 따라서, 질문자님의 경우 3년 연속 거주 요건을 충족하셨으며,
2025년 3월 16일에 신청하셔도 자격이 충족된 상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
3. 신청 시 확인해야 할 추가 조건
거주 기간 외에도 신청 전 다음 항목들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.
① 나이 조건
만 24세 생일이 포함된 분기 내에만 신청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, 생일이 4월이라면 2분기(4~6월)에만 신청 가능합니다.
② 주민등록지 확인
신청 당시에도 주민등록이 경기도에 있어야 하며, 신청 후 지자체 확인 절차가 있으므로 주민등록 이전은 미루시는 것이 좋습니다.
③ 온라인 신청 기간
경기도일자리재단 또는 각 시·군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며, 분기별 신청 기간이 있으니 신청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시길 바랍니다.
4. 실제 신청 사례와 비교해보기
실제로 유사한 사례로 다음과 같은 문의가 많습니다:
- “2021년 4월 1일부터 거주했는데, 2024년 3월 30일 신청 가능한가요?”
👉 이 경우, 3년이 채 되지 않았기 때문에 불가합니다. 4월 1일 이후에 신청해야 합니다. - “주민등록이 중간에 타 지역으로 이동됐다가 돌아왔는데요?”
👉 연속 3년이 아니라면, 총합 10년 이상 거주 경력이 있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.
👉 신청 시, 경기도 전입일 기준으로 정확히 계산해주는 시스템이 있으므로, 주민등록등본을 통해 직접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5. 결론: 신청 가능, 조건 충족 완료
정리하자면,
- 질문자님은 2022년 3월 16일~2025년 3월 16일까지 경기도에 3년 연속 거주 중이며,
- 2025년 3월 16일 신청 시점에 정확히 3년 조건을 채운 상태이므로,
- 청년기본소득 신청 자격을 충족하셨습니다.
따라서 안심하시고, 해당 분기의 신청 기간 내에 신청하시면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겠습니다.
📚 출처
- 경기도일자리재단 청년기본소득 안내
- 경기도청 청년지원정책 공고 (2025년 1분기 기준)
-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기준 안내